공지사항

[협회기사] 160122 (정보통신 미래모임) 3D프린팅 미래를 어떻게 바꿀 것인가

작성자
admin
작성일
2016-02-02 10:57
조회
2456
제3의 산업혁명으로 불리는 3D프린팅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미국과 유럽, 중국, 일본 등은 3D프린팅을 신성장동력으로 인식하고, 침체된 자국경기 회복과 해외시장 선점을 위해 적극적으로 투자한다. 선발국보다 다소 늦었지만 우리나라도 3D프린팅 중요성을 인식하고 적극적인 투자와 지원으로 산업 육성에 나섰다.

아직 국내 3D프린팅 산업기반이 구축되지 않았는데, 글로벌 경쟁에서 뒤지지 않기 위해 빠른 육성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정보통신 미래모임’은 서울 삼정호텔에서 ‘3D프린팅 미래를 어떻게 바꿀 것인가’를 주제로 1월 정기 토론회를 가졌다.

이은영 미래창조과학부 정보통신산업과장 주제발표를 시작으로 신홍현 3D프린팅연구조합 이사장, 이용우 TPC 메카트로닉스 본부장, 최진성 한국3D프린팅협회 회장이 패널로 참여, 3D프린팅의 현재를 점검하고 미래 발전 방향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이날 참석한 각계 전문가는 3D프린팅 산업이 도약하기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개진했다.

“3D프린팅은 아이디어를 가진 사람이 직접 제품을 만들고, 판매할 수 있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습을 가능하게 하는 혁신적인 기술입니다.”

이은영 미래창조과학부 정보통신산업과장은 정보통신 미래모임 1월 정기토론회 주제강연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 과장은 “3D프린팅은 미국, 중국 등에서 미래를 대비하는 신성장동력으로 적극 육성한다”면서 “세계시장 규모를 추정하는 수치가 다양한데, 굉장히 큰 규모이고 빠른 속도로 성장할 것이라는 것이 공통적인 의견”이라고 말했다.

3D프린팅이 중요한 이유는 1인 창조기업 같은 새로운 비즈니스가 가능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제조업 디지털화와 스마트화를 이끈다는 측면에서도 의미있다. 특히 건축, 의료 등 타 산업과 접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고급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

이런 이유로 3D프린팅은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시장도 빠르게 커지고 있다. 이에 반해 국내시장은 급격히 성장하긴 하지만, 국내업체보다 외산업체 위주로 성장하고 있다.

이 과장은 “세계시장 점유율을 보면 미국, 독일, 영국, 중국 등 몇 개 나라가 선점하고 있고, 우리는 아직 2% 정도 수준”이라며 “국내도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추세이긴 하지만, 국내업체 점유율이 낮은 것이 한계”라고 말했다.

국내 3D프린팅 시장을 키우기 위해 정부가 지원에 나섰다. 미래창조과학부와 산업통상자원부가 함께 산업 육성을 추진 중이다. 산업부는 주로 제조업 활용에 초점을 맞췄고, 미래부는 개인 단위 활용과 서비스 시장, 이를 활용한 창업 쪽에 무게를 둔다.

그동안의 정부 지원 성과와 앞으로 방향도 소개했다.

지난 2014년 미래부와 산업부가 공동으로 ‘3D프린팅산업 발전전략’을 수립했고, 이에 따른 ‘3D프린팅 전략기술 로드맵’을 수립했다. 보다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3D프린팅 산업을 육성할 수 있는 지원법인 ‘삼차원프린팅산업 진흥법’도 지난해 연말 제정했다. 3D프린팅으로 만든 제품에 대한 안전성 등 부작용을 규제할 수 있는 조항도 선제적으로 법에 담았다.

전략적인 연구개발(R&D) 사업도 추진했다.

3D프린팅을 의료분야에 적용해 다양하게 활용하는 의료 특화 소프트웨어 기술개발 및 모바일, 저작권 등 사업화 촉진과 연계한 전략적 R&D에 144억원을 투입했다. 3D프린팅 인식 확산을 위한 우수성과 포상 및 사례발표, 3D프린팅 수요확대를 위한 인력 양성 등도 정부가 힘쓴 부분이다.

정부 노력에도 불구하고, 국내 3D프린팅 산업은 기대만큼 성장하지 못했다.

이 과장은 “기술적 잠재력이 많지만 가시적인 성과가 나오지 않는다는 우려가 있는 것 같다”면서 “우리나라뿐 아니라 미국에서도 3D프린팅 기업 주가가 떨어지고, 산업 활성화도 더디다”고 말했다. 이 과장은 “공공에서 3D프린팅 수요를 만들고, 이를 기반으로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해 민간으로 확대해야 한다”며 “공공과 민간이 협업하는 구조가 만들어져야 자생적 발전이 가능한 기반이 만들어진다”고 밝혔다.

미래부가 올해 중점 추진할 방향도 고부가가치형 산업저변 확대다.

이 과장은 “다양한 비즈니스 아이디어를 내고, 이를 시범사업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면서 “그 성과를 가지고 상용화, 사업화 해 매출로 연결될 수 있는 생태계 구축이 목표”라고 설명했다.

서비스 분야 활성화를 위한 3D프린팅 서비스 원스톱 지원체계도 구축한다. 프린팅 관련 기술정보, 정책정보, 기업정보를 한 군데서 볼 수 있는 포털을 구축하고, 이를 활용한 비즈 아이디어를 지원한다. 커뮤니티 활동 등 자발적인 활동도 독려한다. 3D프린팅에서 중요한 설계도도 데이터베이스(DB)로 구축해 활용성을 늘릴 계획이다.

전국 각지에 3D프린팅 특화센터를 만들어 전국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토대도 만든다.

이 과장은 “지역별로 산업과 연계한 지역 특화센터 구축을 준비하고 있다”며 “올해 안에 총 8개 지역에 센터를 만들고, 지역 특화 산업과 연계해 발전할 수 있는 거점 인프라로 키우겠다”고 밝혔다.

[출처] 전자신문

저작권자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 바로보기
http://www.etnews.com/20160122000174